본문 바로가기
사회의 기술 (문화, 사회, 글로벌)/글로벌 이슈

[뉴스] 알리·테무, 한국 시장 점령 임박? 소비자는 환호, 업계는 위기!

by PAR PAR TIPS! 2025. 3. 24.
728x90
반응형

 

알리익스프레스·테무, 한국 시장 점령 임박? 🇨🇳 소비자는 환호, 업계는 위기!

최근 알리익스프레스테무, 쉬인 등 중국의 대표 이커머스 업체들이 한국 시장에 공세적으로 진입하고 있습니다.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의 무역 정책 변화 가능성으로 인해 미국에서의 활동이 어려워질 경우, 한국을 우회 수출 전략지로 삼으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.

🇺🇸 미국의 소액면세제도 개편이 가져온 변화

현재 미국은 800달러 이하 제품에 대해 관세가 면제되지만, 트럼프 2기 정부가 들어서면 이 제도를 축소 또는 폐지할 가능성이 큽니다. 이는 중국 직구 플랫폼에 직격탄으로 작용하며, 미국 외 시장 확대가 필수 전략으로 떠올랐습니다.

특히 지리적으로 가깝고 IT 인프라가 잘 갖춰진 한국은 우회 수출의 최적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. 물류 효율, 결제 시스템, 높은 온라인 소비율 모두 중국 업체에게 유리하게 작용합니다.

📦 알리익스프레스·테무의 한국 공략, 어디까지 왔나?

알리익스프레스는 이미 한국에서 912만 명 이상의 월간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으며, 테무는 국내 물류센터 확보와 함께 빠르게 성장 중입니다. 쿠팡, 11번가, G마켓 등 기존 국내 플랫폼도 이들과의 직접 경쟁에 돌입했습니다.

특히 테무는 무료배송 + 파격적 할인 +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20~30대 소비자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. SNS를 통한 '중국 직구 리뷰'도 일상 콘텐츠로 자리잡는 분위기입니다.

🛒 소비자는 만족, 유통업계는 초긴장

소비자 입장에서는 품질이 괜찮은 초저가 제품을 쉽게 구입할 수 있어 만족도가 높습니다. 하지만 국내 중소 제조업체들은 단가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고, 유통 플랫폼들도 가격·배송 경쟁력</strong에서 열세를 보이는 상황입니다.

한편, 국내 플랫폼들은 프리미엄 배송·로컬 상품 강화로 대응 전략을 세우고 있지만, 알리·테무의 '물량 공세'를 감당하기엔 시간이 필요해 보입니다.

⚠️ 정부의 대응과 통상 리스크

전문가들은 "중국이 한국을 통한 미국 우회 수출을 본격화하면, 한국도 무역 제재 대상이 될 수 있다"고 경고합니다. 특히 통관 정책, 원산지 표기 위반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FTA 분쟁 가능성도 있습니다.

이에 따라 관세청, 공정위, 산업부 등 관련 부처들이 통상 리스크 사전 점검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

📰 관련 기사

 

"중국 직구 왜 안와요?"…트럼프 관세에 미국서 소포 업무 '스톱' - 머니투데이

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쏘아 올린 미·중 무역전쟁 2차전의 신호탄이 전자상거래 시장을 흔들기 시작했다. 관련 행정명령에 따라 미국이 중국산에 추가 10% 관세를 부과하면서 800달러 이하

news.mt.co.kr

 

 

 

알리·테무 한국 진출 확대?…美소액면세제 개편 가능성

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중국·캐나다·멕시코 등 수입품에 대해 소액 면세 제도 개편에 나설 움직임을 보이면서 알리익스프레스·테무·쉬인 등 중국계 이커머스 업체들이 한국 시장 진출을

v.daum.net

 

 

미, 소액면세제 개편 가능성에…"알리·테무 한국 공습 주의보" | 연합뉴스

(서울=연합뉴스) 이슬기 기자 =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중국·캐나다·멕시코 등 수입품에 대해 소액 면세 제도 개편에 나설 움직임을 보이면서...

www.yna.co.kr

 

 

'美 면세 막히면'...알리·테무 한국 공습 '초읽기'

'美 면세 막히면'...알리·테무 한국 공습 '초읽기', 경제

www.hankyung.com

 

 

728x90
반응형